홈 > 강의목록
생화학 통합과정
안덕준 교수님 미국 뉴저지주립대학교 대학원 식품화학과 박사졸업
강의 신청하기 | 총 합계금액 : 440,000원 |
제목 | 강의시간 | 상세내용 |
---|---|---|
1장. 수분 | ||
[1강] 용매로서의 물, 수소 결합 (1)
|
0 :
43 :
32
|
|
생화학이란, 물, 물의 결합구조, 물의 구조적 특징, 물의 생화학적 중요성 | ||
[2강] 용매로서의 물, 수소 결합 (2)
|
0 :
30 :
09
|
|
생화학 반응에서 반응 물질 운반 역할의 이유, 강의요약 | ||
[3강] 물의 생화학적 중요성 (1)
|
0 :
46 :
01
|
|
물에서의 수소 결합 의미, 수소결합의 규칙성, 물의 생화학적 의미, 수소 결합의 의미, 약한 수소 결합의 의미, 물의 끓는 점이 높은 이유, 물의 비열이 높은 이유, 수분의 밀도 | ||
[4강] 물의 생화학적 중요성 (2)
|
0 :
34 :
25
|
|
수소 결합의 생물학적 중요성, 강의요약 | ||
[5강] 산과 염기 (1)
|
0 :
42 :
24
|
|
산, 염기, 산 해리 상수, 중요한 물질들의 해리 상수 | ||
[6강] 산과 염기 (2)
|
0 :
48 :
02
|
|
프로톤전이반응, pH7=중성의 의미, 수소이온농도(pH), 헨더슨-하벨발히식, pH=pKa, 적정곡선, 1당량, 당량점, 강의요약 | ||
[7강] 완충액 (1)
|
0 :
45 :
20
|
|
산과 염기 강의요약 마무리, 완충액의 의미 | ||
[8강] 완충액 (2)
|
0 :
34 :
28
|
|
완충액의 pH 변화 억제 효과, 120ml 1.0M HCI를 buffer에 첨가, 120ml 1.0M HCI를 일반 용액에 첨가, 생체내에서의 pH 조절, 강의요약 | ||
[9강] 물의 생화학적 의미
|
0 :
46 :
26
|
|
물의 생화학적 의미, 강의요약 | ||
2장. 아미노산과 단백질 | ||
[10강] 아미노산과 단백질 서론 (1)
|
0 :
49 :
06
|
|
단백질, 단백질의 역할 | ||
[11강] 아미노산과 단백질 서론 (2)
|
0 :
55 :
43
|
|
구성 성분에 따른 분류, 아미노산, 아미노산의 분류, 소수성 아미노산, 친수성 아미노산, 음 전하를 띤 친수성 아미노산, 양 전하를 띤 친수성 아미노산, 아미노산 그룹별 특징, 필수 아미노산, 방향족 아미노산, 황 함유 아미노산 | ||
[12강] 개별 아미노산의 특징 (1)
|
0 :
51 :
16
|
|
소수성 아미노산1, 소수성 아미노산 역할, 소수성 아미노산2, 메티오닌 역할, 소수성 아미노산3, 프롤린 역할 | ||
[13강] 개별 아미노산의 특징 (2)
|
0 :
42 :
37
|
|
소수성 방향족 아미노산1, 페닐알라닌 역할, 티로신 역할, 소수성 방향족 아미노산2, 트립토판 역할, 친수성+전하를 띠지 않는 아미노산1, 세린의 역할, 트레오닌의 역할, 친수성+전하를 띠지 않는 아미노산2, 아스파라긴 역할 | ||
[14강] 개별 아미노산의 특징 (3)
|
0 :
48 :
15
|
|
친수성+전하를 띠지 않는 아미노산3, 글루타민 역할, 친수성+전하를 띠지 않는 아미노산4, 시스테인 역할, 양 전하를 띠는 아미노산1, 리신 역할, 양 전하를 띠는 아미노산2, 아르기닌 역할, 양 전하를 띠는 아미노산3, 히스티딘 역할 | ||
[15강] 개별 아미노산의 특징 (4), 아미노산의 성질
|
0 :
57 :
28
|
|
음 전하를 띠는 아미노산1, 아스파르트산 역할, 음 전하를 띠는 아미노산2, 글루탐산 역할, 아미노산의 성질, 아미노산은 양성 전해질, 적정곡선 | ||
[16강] 단백질의 구조 (1)
|
0 :
50 :
15
|
|
펩티드 결합 특징 | ||
[17강] 단백질의 구조 (2)
|
0 :
48 :
38
|
|
펩티드 결합 특징, 교차결합, 이황화결합, 아미노산 잔기 | ||
[18강] 단백질의 구조 (3)
|
0 :
42 :
47
|
|
단백질의 1차구조, 단백질의 아미노산 순서 | ||
[19강] 단백질의 구조 (4)
|
0 :
50 :
17
|
|
α 나선구조 | ||
[20강] 단백질의 구조 (5)
|
0 :
57 :
20
|
|
β-병풍구조 | ||
[21강] 단백질의 구조 (6)
|
0 :
42 :
36
|
|
β-병풍구조, 역전을 이루는 구조, 역회전, 고리, α케라틴, 콜라겐, 글리신 | ||
[22강] 단백질의 3차 구조
|
1 :
02 :
57
|
|
단백질의 3차 구조, 3차 구조 형성 결합력의 종류, 미오글로빈, 헴, 포린 단백질, 차이차구조, 영역 | ||
[23강] 단백질의 4차 구조 (1)
|
0 :
58 :
28
|
|
단백질의 4차 구조, 소단위체, 헴 구조, 헤모글로빈, 미오글로빈 | ||
[24강] 단백질의 4차 구조 (2)
|
0 :
41 :
18
|
|
헤모글로빈, 미오글로빈 | ||
[25강] 단백질의 변성
|
0 :
34 :
09
|
|
단백질의 변성 | ||
3장. 효소 | ||
[26강] 효소 정의 및 종류
|
0 :
43 :
16
|
|
효소 정의, 산화환원 효소, 전이효소, 가수분해효소, 제거효소(분해효소), 이성화효소, 합성효소(결합효소) | ||
[27강] 효소의 구조 및 성분, 효소의 기초적 반응 특성
|
0 :
43 :
25
|
|
보조인자, 결손효소(아포효소), 완전효소, 보조효소, 보결원자단, 보효소, 효소의 기초적 반응 특성(온도, pH, 기질) | ||
[28강] 효소 활성자리들의 특징
|
0 :
23 :
20
|
|
효소 활성자리들의 특징 | ||
[29강] 미카엘리스-멘텐 모형
|
0 :
59 :
54
|
|
미카엘리스-멘텐 모형 | ||
[30강] 라인위버-버크도면. Km과 Vmax 의미 및 발전
|
0 :
49 :
36
|
|
라인위버-버크도면, Km과 Vmax 의미, 다른자리입체성 효소 | ||
[31강] 효소 반응의 저해
|
0 :
47 :
24
|
|
비가역억제작용, 가역억제작용, 경쟁적 저해, 비경쟁적 저해, 무경쟁적 저해 | ||
4장. 탄수화물 | ||
[32강] 탄수화물
|
0 :
54 :
58
|
|
탄수화물의 구성, 탄수화물의 역할, 단당류, 이당류, 올리고당, 다당류 | ||
[33강] 단당류의 종류와 구조 (1)
|
0 :
56 :
40
|
|
단당류의 정의, 삼탄당, D형 계열, L형 계열, 에피머 | ||
[34강] 단당류의 종류와 구조 (2)
|
0 :
33 :
53
|
|
알파형, 베타형, 축방향, 적도방향, 피라노즈 구조 | ||
[35강] 단당류의 성질 (1)
|
0 :
48 :
07
|
|
단당류의 성질, 글리코시드 결합 형성, 에스테르화 반응 | ||
[36강] 단당류의 성질 (2)
|
0 :
20 :
49
|
|
산화작용 | ||
[37강] 단당류의 종류와 특징 (1)
|
0 :
37 :
25
|
|
5탄당, 6탄당 | ||
[38강] 단당류의 종류와 특징 (2)
|
0 :
32 :
00
|
|
산성당, 당 알콜, 아미노당 | ||
[39강] 소당류의 종류와 특징
|
0 :
44 :
53
|
|
소당류의 특징, 수크로오즈, 유당(젖당), 맥아당, 셀로비오스, 기타 이당류, 3탄당, 4탄당 | ||
[40강] 다당류의 종류와 특징 (1)
|
0 :
38 :
30
|
|
다당류의 특징, 글리코겐, 전분, 셀룰로오즈 | ||
[41강] 다당류의 종류와 특징 (2)
|
0 :
25 :
19
|
|
펙틴, 글루코만난, 헤미셀룰로오즈 | ||
[42강] 단백질당의 의미
|
0 :
21 :
12
|
|
단백질당의 특징, 단백질당의 역할 | ||
[43강] 당단백질의 의미
|
0 :
33 :
53
|
|
당단백질의 의미 및 역할, 당단백질의 구성, 당단백질의 구조적 특징, N-연결, O-연결, 렉틴, 단백질당과 당단백질의 차이 | ||
5장. 지질 | ||
[44강] 지방질과 세포막
|
0 :
23 :
56
|
|
지질, 세포막의 역할, 지방의 세포막에서의 역할 | ||
[45강] 지방질의 특징
|
0 :
53 :
20
|
|
지방질의 특징 | ||
[46강] 지방질의 종류 (1)
|
0 :
49 :
14
|
|
지방질의 분류, 단수지방질, 복합지방질 | ||
[47강] 지방질의 종류 (2)
|
0 :
41 :
31
|
|
복합지방질, 유도지질 | ||
[48강] 막 지방질의 구조
|
0 :
41 :
30
|
|
막 지방질의 구조 | ||
[49강] 막 지방질의 특징
|
0 :
43 :
53
|
|
지방질의 기본적 역할, 막 지방질의 종류, 인산지방질, 당지방질, 콜레스테롤, 공통적 특징 | ||
[50강] 막 지방질과 단백질의 결합
|
0 :
44 :
47
|
|
막 지방질과 단백질의 역할, 막 지방질과 단백질의 결합 방법, 막 지방질과 단백질의 확산, 막의 유동성 | ||
6장. 막 통로와 펌프 | ||
[51강] 막 통로와 펌프 (1)
|
0 :
53 :
02
|
|
막 통로와 펌프 특징, 펌프의 유형, 통로의 역할 | ||
[52강] 막 통로와 펌프 (2)
|
0 :
28 :
50
|
|
능동수송과 수동수송, 단순확산, 수월해진 확산, 능동확산 | ||
[53강] 막 통로와 펌프 (3)
|
0 :
33 :
09
|
|
Na+-K+펌프, 이차운반계, 통로들의 특징 | ||
7장. 핵산 | ||
[54강] 핵산
|
0 :
43 :
54
|
|
핵산의 역할, 핵산의 의미 | ||
[55강] 핵산 구성성분
|
0 :
28 :
20
|
|
핵산 구성성분, 퓨린염기, 피리미딘 염기, 뉴클레오시드, 뉴클레오티드 | ||
[56강] DNA, RNA
|
0 :
28 :
43
|
|
DNA의 특징, 피리미딘 염기, RNA의 특징 | ||
8장. 비타민 | ||
[57강] 비타민
|
0 :
35 :
08
|
|
비타민 정의, 비타민 특징, 비타민의 역할, 지용성 비타민, 수용성 비타민 | ||
[58강] 수용성 비타민 (1)
|
0 :
27 :
48
|
|
비타민 B1, 비타민 B2, 비타민 B3, 비타민 B5, 비타민 B6군 | ||
[59강] 수용성 비타민 (2)
|
0 :
37 :
46
|
|
비타민 B7, 비타민 B9, 비타민 B12, 비타민 C | ||
[60강] 지용성 비타민
|
0 :
45 :
01
|
|
비타민 A, 비타민 D, 비타민 E, 비타민 K, 비타민 F | ||
9장. 무기질 | ||
[61강] 무기질
|
0 :
48 :
41
|
|
무기질의 역할, 무기질의 기능, 다량 무기질, 미량 무기질 | ||
[62강] 다량무기질의 종류
|
0 :
48 :
54
|
|
칼슘(Ca), 인(P), 마그네슘(Mg), 황(S), 나트륨(Na), 칼륨(K), 염소(Cl) | ||
[63강] 미량무기질의 종류
|
0 :
31 :
39
|
|
철(Fe), 구리(Cu), 아연(Zn), 망간(Mn), 요오드(I) | ||
10장. 대사 | ||
[64강] 대사
|
0 :
49 :
49
|
|
대사 | ||
[65강] 대사의 구성 (1)
|
0 :
39 :
56
|
|
분해 대사 | ||
[66강] 대사의 구성 (2)
|
0 :
44 :
03
|
|
생합성 대사, 고분자 물질의 합성, 탄수화물 대사 | ||
[67강] 대사의 구성 (3)
|
0 :
32 :
53
|
|
지질 대사, 단백질 대사 | ||
[68강] 대사에서의 ATP의 중요성
|
0 :
46 :
34
|
|
대사 반응은 서로 짝지어지고 상호 연결, 대사는 에너지 산출반응과 요구반응으로 구성, Coupling의 유리한 점, ATP는 자유에너지의 보편적 유통 매체, ATP 보다 ADP 와 P_i 가 열역학적으로 안정 | ||
[69강] 탄소 산화는 세포에너지 원천 (1)
|
0 :
39 :
47
|
|
ATP 대사회전은 매우 크다, 탄소 산화 에너지는 어디에 사용되나? | ||
[70강] 탄소 산화는 세포에너지 원천 (2)
|
0 :
32 :
02
|
|
음식물로부터의 에너지 추출 | ||
[71강] 대사는 운반체를 가진다 (1)
|
0 :
37 :
22
|
|
인산기 이동 수단은 ATP, 산화를 위한 전자 운반체들, 환원적 생합성을 위한 전자 전달체, 2탄소 단위들의 운반체 | ||
[72강] 대사는 운반체를 가진다 (2)
|
0 :
23 :
58
|
|
운반체 사용의 의미, 운반체는 비타민에서 유래 | ||
[73강] 대사 공통반응
|
0 :
31 :
23
|
|
산화환원 반응, 연결 반응, 이성질화 반응, 원자단 이동 반응, 가수분해 반응, 제거 반응 | ||
[74강] 대사조절방법 (1)
|
0 :
38 :
03
|
|
효소의 양, 촉매 활성 조종 | ||
[75강] 대사조절방법 (2)
|
0 :
30 :
33
|
|
촉매 활성 조종, 기질들의 접근성 | ||
11장. 해당 작용 | ||
[76강] 해당 작용
|
0 :
48 :
29
|
|
해당 작용 | ||
[77강] 해당 과정 개요
|
0 :
26 :
59
|
|
포도당을 과당 1,6-bisphosphate로 전환, 과당 1,6-비스인산을 3탄소로 전환, 글리세르알데히드 3-인산이 피루브산으로 산화 | ||
[78강] 해당 과정의 1, 2단계
|
0 :
44 :
49
|
|
포도당을 포도당-인산으로 전환, 포도당-인산을 과당-인산으로 전환, 과당-인산을 과당-비스인산으로 전환, 과당-비스인산을 2개의 C3로 전환 | ||
[79강] 해당 과정의 3단계
|
0 :
48 :
39
|
|
글리세르알데히드 3-인산의 인산화 과정, 1,3 비스포글리세르산에서 ATP 합성, 포스포글리세르산에서 인산의 자리 옮김, 2 포스포글리세르산의 탈수 반응, 포스포엔올피루브산(PEP)의 ATP 생성 , 포도당이 피루브산으로 전환시에 대차대조표, 포도당이 피루브산으로 전환 과정 | ||
[80강] 피루브산의 운명
|
0 :
43 :
23
|
|
에탄올로 전환, 락트산으로 전환, 아세틸 CoA로 전환 | ||
[81강] 단당류의 적절한 전환
|
0 :
35 :
31
|
|
과당의 해당으로의 유도 과정, 갈락토오즈의 해당으로의 유도 과정 | ||
[82강] 해당과정의 조절 (1)
|
0 :
43 :
35
|
|
근육의 해당 조절 | ||
[83강] 해당과정의 조절 (2)
|
0 :
29 :
45
|
|
간에서의 해당 조절 | ||
12장. 포도당 신생합성 | ||
[84강] 포도당 신생합성
|
0 :
40 :
33
|
|
포도당 신생합성 | ||
[85강] 해당 역과정이 아니다
|
0 :
49 :
33
|
|
해당 역과정이 아니다 | ||
[86강] 포도당 신생합성 조절
|
0 :
50 :
03
|
|
에너지 부하가 조절 요인, 호르몬에 의한 조절, 기질에 의한 조절 | ||
[87강] 해당과 신생합성의 통합경로
|
0 :
34 :
08
|
|
코리 회로, 포도당-알라닌 회로 | ||
13장. 글리코겐대사 | ||
[88강] 글리코겐대사
|
0 :
50 :
01
|
|
글리코겐 분해, 글리코겐 합성, 글리코겐 대사 조절 | ||
[89강] 글리코겐분해
|
0 :
40 :
43
|
|
글리코겐을 분해하는 하나의 효소, 글리코겐에서 가지를 분해하는 효소, 포도당 1-인산을 포도당 6-인산으로 전환 | ||
[90강] 글리코겐분해 조절
|
0 :
42 :
15
|
|
글리코겐분해 조절, 근육의 가인산분해 효소, 근육의 가인산분해 효소, 간의 가인산분해 효소, 가인산분해 효소 키나아제 | ||
[91강] 호르몬역할
|
0 :
32 :
17
|
|
호르몬역할 | ||
[92강] 합성과 분해는 다른 경로 이용
|
0 :
47 :
09
|
|
UDP-포도당은 포도당의 활성화된 형태, UDP-포도당은 포도당 운반체, 가지도 만들어야 한다, 글리코겐 합성 효소는 조절된다, 글리코겐은 매우 효율적인 저장 방법이다 | ||
[93강] 합성 분해는 상반적으로 조절
|
0 :
48 :
19
|
|
운동 후 근육의 변화, 인슐린의 운동 후 역할, 간의 역할 | ||
14장. 펜토오스 인산 경로 | ||
[94강] 펜토오스 인산 경로
|
0 :
50 :
40
|
|
이산화탄소 고정화 작업, 6탄당 인산 형성 경로, 리불로오즈 1,5-BP 재생산, 칼빈회로의 대차 대조표 | ||
[95강] 펜토오스 인산 산화적 경로
|
0 :
49 :
54
|
|
산화적 반응, 비산화적 반응, 산화 과정 세부 경로, 산화 과정 요약 | ||
[96강] 펜토오스 인산 비산화적경로
|
0 :
46 :
35
|
|
비산화적 반응 개요, 비산화적 반응 세부 경로, 비산화 과정 요약 | ||
[97강] 펜토오스 인산 경로의 조절 (1)
|
0 :
44 :
18
|
|
NADP+ 농도가 미치는 영향, 기질 농도가 미치는 영향, 대사의 수요가 미치는 영향 | ||
[98강] 펜토오스 인산 경로의 조절 (2)
|
0 :
32 :
40
|
|
대사의 수요가 미치는 영향 | ||
15장. 시트르산 회로 | ||
[99강] 시트르산 회로 개요 (1)
|
0 :
41 :
24
|
|
시트르산 회로 개요 | ||
[100강] 시트르산 회로 개요 (2)
|
0 :
42 :
35
|
|
시트르산 회로 개요 | ||
[101강] acetyl CoA 형성
|
0 :
42 :
58
|
|
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는 3가지 효소와 보조 효소가 필요하다,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의 특징,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의 의미 | ||
[102강] 시트르산 회로
|
0 :
54 :
18
|
|
시트르산의 형성, 이소시트르산의 형성, 첫번째 산화 환원 반응, 숙시닐 CoA의 생성, 숙신산의 생성, 푸마르산의 생성, 말산의 생성, 옥살로아세트산의 생성 | ||
[103강] 시트르산 회로의 의미
|
0 :
35 :
42
|
|
시트르산 회로의 반응 대차대조표, 시트르산 회로의 의미 | ||
[104강] 시트르산 회로의 조절 (1)
|
0 :
49 :
43
|
|
시트르산 회로의 조절 효소,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에 의한 조절 | ||
[105강] 시트르산 회로의 조절 (2)
|
0 :
42 :
13
|
|
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에 의한 조절, 케토글루타르산 탈수소효소에 의한 조절 | ||
[106강] 회로는 생합성물질 공급원천
|
0 :
39 :
53
|
|
회로는 생합성물질 공급원천 | ||
[107강] 글리옥실산 회로
|
0 :
37 :
22
|
|
글리옥실산 회로 | ||
16장. 산화적 인산화 반응 | ||
[108강] 산화적 인산화 반응 (1)
|
0 :
32 :
07
|
|
산화적 인산화 반응 | ||
[109강] 산화적 인산화 반응 (2)
|
0 :
43 :
49
|
|
전자전달 사슬 복합체, ATP 합성 효소 | ||
[110강] 산화적 인산화 반응의 특징
|
0 :
38 :
32
|
|
전자들의 이동 경로, 코엔자임 Q의 특징 | ||
[111강] 산화적 인산화 반응의 구성
|
0 :
46 :
51
|
|
전자전달 사슬의 구성, 코엔자임 Q, 시토크롬 c, 전자의 이동 단계, Q-시토크롬 산화환원 효소의 활약, 시토크롬 c 산화효소의 역할 | ||
[112강] 초과산화 라디칼 형성
|
0 :
31 :
17
|
|
초과산화 라디칼 형성 | ||
[113강] 양성자 기울기의 역할
|
0 :
42 :
03
|
|
양성자 동력이 ATP 합성을 유발한다, ATP 생성효소의 특징 | ||
[114강] 왕복장치의 역할
|
0 :
49 :
41
|
|
글리세롤 3-인산 왕복 장치, ATP-ADP 자리옮김 효소, 인산 운반체 | ||
[115강] 세포 호흡의 조절
|
0 :
47 :
00
|
|
ATP 수요가 결정한다, 독소 성분들은 산화적 인산화 반응을 억제한다. | ||
[116강] 포도당의 완전 산화 (1)
|
0 :
28 :
16
|
|
포도당의 완전 산화 | ||
[117강] 포도당의 완전 산화 (2)
|
0 :
38 :
49
|
|
해당 과정(세포질 내에서), 피루브산의 아세틸 CoA로의 전환, 시트르산 회로, 산화적 인산화 | ||
17장. 지방산 대사 | ||
[118강] 지방산 대산 (1)
|
0 :
33 :
59
|
|
지방산 대산 | ||
[119강] 지방산 대산 (2)
|
0 :
58 :
52
|
|
지방산의 주요 기능, 지방산의 분해와 합성 | ||
[120강] 지방산 분해 1단계
|
0 :
51 :
53
|
|
지방산의 분해는 3단계로 진행된다, 트리아실글리세롤의 분해 | ||
[121강] 지방산 분해 2단계
|
0 :
37 :
30
|
|
지방산은 활성화가 필요하다, 지방산은 기질 안으로 운반되어야 한다, 카르니틴 이동 효소의 결핍은 질병을 유발 | ||
[122강] 지방산 분해 3단계 (1)
|
0 :
41 :
47
|
|
지방산의 산화 | ||
[123강] 지방산 분해 3단계 (2)
|
0 :
38 :
34
|
|
팔미트산 산화에 의한 ATP 생산량 | ||
[124강] 단일불포화지방산 분해 (1)
|
0 :
46 :
26
|
|
음식에는 많은 불포화 지방산이 존재한다. | ||
[125강] 단일불포화지방산 분해 (2)
|
0 :
25 :
05
|
|
단일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 | ||
[126강] 다가불포화지방산 분해
|
0 :
39 :
42
|
|
다가불포화지방산, 다가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 | ||
[127강] 홀수지방산 분해
|
0 :
27 :
57
|
|
홀수지방산 분해 | ||
[128강] 지방산 분해 조절
|
0 :
45 :
27
|
|
지방산 분해 조절 | ||
18장. 지방산 합성 | ||
[129강] 지방산 합성
|
0 :
31 :
50
|
|
지방산 합성 | ||
[130강] 지방산 합성 기작 (1)
|
0 :
36 :
27
|
|
말로닐 CoA의 형성으로 시작된다, ACP는 거대한 CoA이다, 지방산 합성은 지방산 생성 효소에 의해서 일어난다 | ||
[131강] 지방산 합성 기작 (2)
|
0 :
35 :
54
|
|
지방산 합성은 지방산 생성 효소에 의해서 일어난다 | ||
[132강] 지방산 합성 대차대조표
|
0 :
45 :
17
|
|
팔미트산 합성의 화학량론, 지방산 합성을 위한 재료 공급 | ||
[133강] 지방산 합성 조절
|
0 :
58 :
06
|
|
아세틸 CoA 카르복실화 효소의 역할, 세포의 상태에 따른 카르복실화 효소 조절, 호르몬에 의한 카르복실화 효소 조절 | ||
[134강] 지방산 연장과 불포화화
|
0 :
47 :
01
|
|
지방산 연장, 지방산의 불포화화, 다가 불포화 지방산은 호르몬의 전구 물질 | ||
19장. 지방질 합성 | ||
[135강] 지방질 합성
|
0 :
38 :
29
|
|
지방질 합성 | ||
[136강] 아실글리세롤의 합성
|
0 :
38 :
04
|
|
아실글리세롤의 합성 | ||
[137강] 인지질의 합성
|
0 :
42 :
49
|
|
포스파티딜 이노시톨 합성,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합성, 포스파티딜콜린 합성, 포스파티딜세린 합성 | ||
[138강] 스핑고지방질의 합성
|
0 :
36 :
30
|
|
스핑고미엘린, 세레브로시드, 강글리오시드 | ||
[139강] 콜레스테롤 합성 (1)
|
0 :
37 :
15
|
|
콜레스테롤 합성 | ||
[140강] 콜레스테롤 합성 (2)
|
0 :
28 :
08
|
|
이소펜테닐 피로인산의 합성, 스콸렌의 합성, 콜레스테롤 생성 | ||
[141강] 콜레스테롤 합성조절
|
0 :
40 :
03
|
|
HMG-CoA 환원 효소의 조절 | ||
[142강] 콜레스테롤 이용방법
|
0 :
57 :
19
|
|
저밀도 지방단백질, 고밀도 지방단백질, 담즙산염의 생성,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생성 | ||
20장. 단백질 대사 | ||
[143강] 단백질 대사
|
0 :
52 :
17
|
|
아미노산이 체내에서 이용되는 방법, 과량의 아미노산의 처리 방향 | ||
[144강]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
|
0 :
28 :
48
|
|
단백질의 소화 | ||
[145강] 단백질 대사회전의 조절
|
0 :
24 :
53
|
|
단백질 대사회전의 조절 | ||
[146강] 아미노산에서 질소의 제거
|
0 :
55 :
23
|
|
α-아미노기의 암모늄 이온으로의 전환 | ||
[147강] 다른 조직에서의 질소 제거
|
0 :
30 :
38
|
|
다른 조직에서의 질소 제거 | ||
[148강] 우레아 회로
|
0 :
52 :
27
|
|
우레아 회로의 시작, 포도당 신생합성과의 연결 | ||
[149강] 아미노산 탄소원자의 운명(1)
|
0 :
45 :
07
|
|
피루브산으로의 전환(3탄소 아미노산), 옥살로아세트산으로 전환(4탄소 아미노산), α-케토글루타르산으로 전환(5C 아미노산) | ||
[150강] 아미노산 탄소원자의 운명(2)
|
0 :
23 :
46
|
|
숙시닐 CoA로의 전환(무극성 아미노산), 아세틸 CoA 또는 아세토아세트산으로의 전환, 방향족 화합물의 분해 | ||
[151강] 아미노산 대사 이상
|
0 :
21 :
57
|
|
페닐케톤뇨증, 단풍시럽뇨증, 알캅톤뇨증 | ||
21장. 아미노산의 생합성 | ||
[152강] 아미노산의 생합성
|
0 :
44 :
31
|
|
아미노산의 생합성 | ||
[153강] 질소고정
|
0 :
34 :
20
|
|
질소고정 | ||
[154강] 아미노산의 골격형성
|
0 :
43 :
36
|
|
α-케토산에 아미노기 첨가를 통한 합성, 아스파라긴 형성, 글루타민,프롤린 그리고 아르기닌의 생성, 해당은 세린,시스테인 그리고 글리신 근원 | ||
[155강] 아미노산 생합성의 조절
|
0 :
57 :
16
|
|
다중 생산물 조절, 효소의 다중성, 가역적 공유 결합에 의한 효소 활성 조절 | ||
[156강] 질소 함유 화합물의 형성
|
0 :
47 :
15
|
|
포르피닌의 합성, 핵산 염기의 합성, 글루타티온의 합성, 일산화 질소 합성, 포스포크레아틴의 합성, 생리활성 아민의 합성, 타우린의 합성 | ||
22장. 누클레오티드 생합성 | ||
[157강] 누클레오티드 생합성 (1)
|
0 :
51 :
36
|
|
누클레오티드 생합성, 푸린염기, 피리미딘 염기 | ||
[158강] 누클레오티드 생합성 (2)
|
0 :
25 :
40
|
|
누클레오티드 생합성 | ||
[159강] 피리미딘 생합성
|
0 :
39 :
02
|
|
피리미딘 생합성 | ||
[160강] 피리미딘 회수경로
|
0 :
34 :
46
|
|
피리미딘 회수경로 | ||
[161강] 푸린 회수 경로, 푸린 합성 경로
|
0 :
55 :
03
|
|
푸린 회수 경로, 푸린 합성 경로 | ||
[162강] 합성 조절과 환원작용, 누클레오티드 대사장애
|
0 :
59 :
34
|
|
피리미딘 생합성 조절, 푸린 생합성 조절, 리보누클레오티드의 환원과 조절, 중증 합병형 면역결핍증(SCID), 통풍, 레쉬-니한 증후군 | ||
23장. 대사 통합 | ||
[163강] 대사의 통합
|
0 :
42 :
00
|
|
대사의 통합 | ||
[164강] 대사과정의 기본특징
|
0 :
56 :
59
|
|
대사과정의 기본특징 | ||
[165강] 대사과정의 기본조절
|
0 :
59 :
52
|
|
다른자리 입체적 상호작용, 공유결합적 변화를 통한 조절, 효소 수준의 조정, 칸 나누기, 전문화 | ||
[166강] 주요대사 경로들의 조절 (1)
|
0 :
59 :
50
|
|
해당 과정, 시트르산 회로와 산화적 인산화 반응,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, 펜토오즈 인산 경로 | ||
[167강] 주요대사 경로들의 조절 (2)
|
1 :
03 :
59
|
|
포도당 신생합성, 글리코겐 합성과 분해, 지방산 합성과 분해 | ||
[168강] 대사 과정에서의 중요 물질 (1)
|
0 :
40 :
23
|
|
포도당 6-인산 | ||
[169강] 대사 과정에서의 중요 물질 (2)
|
0 :
46 :
20
|
|
피부르산, 아세틸 CoA | ||
[170강] 기관별 대사 과정의 특징 (1)
|
0 :
42 :
07
|
|
뇌, 근육 | ||
[171강] 기관별 대사 과정의 특징 (2)
|
1 :
00 :
57
|
|
지방 조직, 신장, 간 | ||
[172강] 식사가 대사에 미치는 영향
|
1 :
02 :
23
|
|
식사 후 상태, 초기 단식 상태, 다시 식사 후의 상태 | ||
[173강] 운동이 대사에 미치는 영향
|
0 :
49 :
16
|
|
단거리 달리기, 중거리 달리기, 장거리 달리기 | ||
[174강] 에탄올이 대사에 미치는 영향
|
0 :
41 :
18
|
|
NADPH 과잉 생산, NADPH 산화, 아세틸 CoA 과잉 생산, 비타민 파괴 | ||
[175강] 호르몬이 대사에 미치는 영향
|
0 :
31 :
42
|
|
인슐린, 글루카곤, 에피네프린 | ||
24장. DNA 복제, 수선 그리고 재조합 | ||
[176강] DNA 복제, 수선, 그리고 재조합
|
0 :
50 :
15
|
|
DNA 복제, 수선, 재조합 | ||
[177강] DNA 복제 기초
|
0 :
48 :
14
|
|
DNA 복제 기초 | ||
[178강] DNA 복제 상세
|
0 :
51 :
58
|
|
DNA 중합효소(DNA polymerase), RNA primer, 복제 가닥의 형성, RNA primer 제거, DNA 연결효소, 나선 효소(helicase) | ||
[179강] DNA 복제 조절
|
0 :
45 :
43
|
|
DNA 복제 조절 | ||
[180강] DNA 손상의 인식 및 수선 (1)
|
0 :
43 :
30
|
|
복제 과정에서 일어나는 착오, DNA 손상 원인 | ||
[181강] DNA 손상의 인식 및 수선 (2)
|
0 :
42 :
47
|
|
DNA 손상 수리 체계, DNA 손상 수리 사례 | ||
[182강] DNA 재조합
|
0 :
29 :
35
|
|
유전자 재조합 기작, 홀리데이 접합체를 이용한 유전자 재조합 | ||
25장. RNA 합성과 가공 | ||
[183강] RNA 합성과 가공
|
0 :
53 :
48
|
|
RNA 합성과 가공 | ||
[184강] RNA 종류와 기본특징
|
0 :
32 :
57
|
|
mRNA, tRNA, rRNA | ||
[185강] 원핵 세포의 전사 (1)
|
0 :
53 :
20
|
|
전사 개시, RNA 가닥 연장 단계 | ||
[186강] 원핵 세포의 전사 (2)
|
0 :
29 :
47
|
|
전사 종결 | ||
[187강] 진핵 세포의 전사 (1)
|
0 :
41 :
22
|
|
진핵 세포에서의 RNA 중합효소, RNA 중합효소 촉진 유전자 | ||
[188강] 진핵 세포의 전사 (2)
|
0 :
19 :
54
|
|
RNA 중합효소Ⅱ 촉진유전자의 공통 요소, TRIID 단백질 복합체의 역할, 증진 유전자의 역할 | ||
[189강] 전사후 RNA 가공
|
0 :
46 :
08
|
|
리보솜 RNA 가공, 전달 RNA 가공, mRNA 가공 | ||
[190강] 촉매성 RNA
|
0 :
27 :
15
|
|
작은 RNA, 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(ribonuclease P) | ||
26장. 단백질 합성 | ||
[191강] 단백질 합성
|
0 :
43 :
45
|
|
단백질 합성 | ||
[192강] mRNA 유전암호
|
0 :
27 :
47
|
|
코돈의 기본적 성질, 코돈의 특성, 돌연 변이 | ||
[193강] 단백질 합성의 시작
|
0 :
33 :
03
|
|
단백질 합성의 시작 | ||
[194강] 아미노아실-tRNA (1)
|
0 :
33 :
10
|
|
아미노아실-tRNA | ||
[195강] 아미노아실-tRNA (2)
|
0 :
35 :
33
|
|
아미노아실 tRNA 합성효소의 기질특이성, 합성효소의 역코돈과 받게 줄기 인식, 합성효소의 일반적 특징 | ||
[196강] 리보솜의 특징 및 역할 (1)
|
0 :
40 :
25
|
|
리보솜의 특징 및 역할 | ||
[197강] 리보솜의 특징 및 역할 (2)
|
0 :
35 :
42
|
|
리보솜의 특징 및 역할 | ||
[198강] 단백질합성 성장 단계
|
0 :
50 :
40
|
|
단백질합성 성장 단계 | ||
[199강] 단백질 인자의 역할
|
0 :
36 :
27
|
|
단백질 인자의 역할 | ||
[200강] 자리옮김과 종료
|
0 :
25 :
20
|
|
자리옮김과 종료 | ||
[201강] 진핵 생물의 단백질 합성
|
0 :
53 :
42
|
|
리보솜의 차이, 개시 tRNA 차이, 개시 시점의 차이, mRNA 구조, 연장과 종결 | ||
[202강] 단백질 합성 종류 (1)
|
0 :
48 :
39
|
|
신호 연속 부분, 신호 인식 입자, SRP 수용체, 자리옮김장치 | ||
[203강] 단백질 합성 종류 (2)
|
0 :
26 :
35
|
|
자리옮김장치 | ||
27장. 유전자 발현 | ||
[204강] 유전자 발현
|
0 :
31 :
52
|
|
유전자 발현 | ||
[205강] DNA 염기 순서의 역할
|
0 :
29 :
13
|
|
DNA 염기 순서의 역할 | ||
[206강] 억제인자의 작용기작
|
0 :
44 :
44
|
|
억제인자의 작용기작 | ||
[207강] 오페론은 공통 조절 단위
|
0 :
32 :
25
|
|
오페론은 공통 조절 단위 | ||
[208강] 진핵 생물 유전자 조절
|
0 :
44 :
21
|
|
진핵 생물은 여러 개의 전사 인자가 조절자리와 작용한다, 진핵 생물 전사 인자들은 조립체이다. | ||
[209강] 보조인자를 이용한 조절
|
0 :
50 :
26
|
|
보조인자를 이용한 조절 | ||
[210강] 전사 후 수준에서의 발현조절
|
0 :
50 :
34
|
|
원핵 생물에서 전사 후 조절, 진핵 생물에서 전사 후 조절 |
오늘 팝업 보이지 않기 | 닫기 |
오늘 팝업 보이지 않기 | 닫기 |